본문 바로가기

재테크/부동산

전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 차이점 완벽정리와 면적평수계산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짐캐리어입니다!

신혼부부가 처음 집을 구할 때,

자취생이 처음 집을 구할 때,

직장인이 처음 집을 구할 때

 

 

부동산 계약서에는 3가지 정도의 면적이 적혀있는데 무엇이 실제로 사용하는 면적인지 모르고 계약하시지 않았나요?

전용면적, 공급면적, 계약면적

이 세 가지 면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전용면적

 

 

전용면적 = 발코니를 제외한 집 내부면적

 

이것이 우리가  꼭 알아야 하는 실제 사용면적이라는 것입니다.

 

보통 아파트를 검색하면 82.67m²/59.99m²(전용률 73%)라고 나오는데요

이것은 공급면적/전용면적을 말하는 것입니다.

59.99가 전용면적인 것이죠

 

 

 공급면적

 

공급면적 = 전용면적 + 주거공용면적

 

주거공용면적은 아파트에서 공동으로 사용하는 현관문 앞, 복도나 계단, 엘리베이터 등을 말합니다.

 

기타 공용면적은 주거공용을 제외한 관리사무소나 노인정, 체육시설, 도서관 같은 커뮤니티 시설 등의

주민 공동이용시설이 이에 속하게 됩니다.

 

보통 아파트 평수를 얘기하는 것이 공급면적이 됩니다.

 

예를 들어, 부동산 공인중개사가 "이번에 보여드리는 집은 30평짜리 아파트입니다"라고 얘기할 때,

30평은 공급면적에 해당되는 크기입니다. 전용면적은 24평 정도 되겠죠

 

 

 

 

 

 계약면적

 

 

계약면적 = 공급면적 +기타 공용면적

 

주로 오피스텔 같은 경우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공급면적에 기타 공용면적을 포함함으로써

실제 면적을 뻥튀기시켜 보이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적혀있는 아파트 평수와 오피스텔 평수가 비슷한데

실제 내부 면적이 차이 나는 이유가 이 계약면적 때문입니다.

 

 

 

 

 

 

 면적 평수 계산법

 

 

부동산 계약서를 보시게 되거나 부동사 중개업소 가게에 붙어있는 프린트를 보면

면적에 모두 m²으로 표기되어있는데

이 이유는 무엇일까요?

 

'평수'는 옛날 일본식 표기방법으로

정부에서 금지하는 표기방법입니다.

 

또 다른 이유는 평수라는 단어를 쓰게 되면 면적에 비해 정확하게 면적 크기를 나타낼 수 없기 때문이죠

실제로 24평이라고 정확하게 말할 수 있는 면적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에 비해 m²을 사용하면 소수점까지 정확하게 표기할 수 있습니다.

 

 

m²(제곱미터) 👉 평 : m²(제곱미터) x 0.3025 = 평

평 👉 (제곱미터) : 평 x 3.3058 = m²(제곱미터) 

 

 

이 계산식을 이용하면 쉽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면적 👉 평수는

 

49👉 14.8평

59👉 17.8평

84👉 25.4평

102 👉 30.8평

135 👉 40.8평

 

 

기본적은 부동산 지식들을 숙지하여 부동산 계약하실때 아무것도 모른 채로 계약하지 맙시다 :)

 

 

반응형